작성자: 쿠로쿠모

 

유저들과 아이템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단은 크게 마켓, 트레이드, 간판, 메일 이렇게 4가지로 나뉘게 돼.
이번엔 그중에서 마켓에 대해 알아보자.

마켓 이용은 크게 2가지, 물건을 등록하여 판매하거나, 등록되어있는 물건을 구매하는게 가능해.

목차

A) 아이템 등록에 대하여
B) 아이템 검색창의 기초사항
C) 검색 필터 사용법 (중요★)

 

 

A) 아이템 등록에 대하여

[아이템을 출품한다 / 매상을 회수한다]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화면으로, 우리는 여기서 판매할 물건을 등록하거나, 등록을 취소하거나, 판매된 물건의 매상을 회수하거나, 판매에 실패한 아이템을 돌려받는 게 가능해.

물품을 출품한다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날 거야. 여기서 먼저, 화면의 우측을 보면 빨간색 동그라미의 국제 출품 (오늘의 세율 +N%)이라는 버튼과, 파란색 동그라미의 길드만이라는 버튼이 보이는데, 둘 중 아무것에도 체크하지 않고 아이템을 출품할 경우 「국내 마켓」으로 등록되어, 해당 서버 내의 유저만이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해.

 

「국제 출품」을 택할 경우 국제마켓에 등록되어 세계 모든 서버의 유저들이 해당 아이템을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해. '그러면 국내 출품은 이용할 필요 없이 국제 출품이 최고 아니냐?'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렸어. 한국 서버의 경우 세율이 +0%지만, 외국 서버 중에서도 특히 필자가 한국 서버와 함께 주로 이용한 일본 서버의 경우 평균적으로 +15~20% 사이로 상당히 높아. 세율의 계산 예시를 보이자면 세율이 20% 일 때 국제마켓에 장비 하나를 5000만 스피나에 등록할 경우 우리가 등록한 가격은 5000만 스피나지만, 구매자가 검색했을 때 표시되는 가격은 5000만의 +20% 즉 6000만이 돼. 즉, 구매자는 6천만 스피나를 지불하고, 판매자는 (5천만 스피나 - 수수료) 만큼의 값을 받게 된다는 말이야. 그렇기에 서버에 따라서는 어느 마켓에 올릴지 생각해 볼 필요가 생기지.

「길드만」 버튼을 누를 경우 출품한 아이템은 길드원 외의 다른 유저에게는 보이지 않으며 구매를 원하는 길드원이 「길드만」 버튼을 누르고 검색했을 때에만 검색이 가능해. 다만 길드원들도 길드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검색이 안돼서 개인적으론 불만이 많은 시스템이야.

판매할 아이템을 정하고 개수까지 정하고 나면, 하단의 판매액을 결정 버튼을 눌러 가격을 설정할 수 있어. 필자는 적청광 2개를 설정했는데(아이템 이름 우측에 있는 괄호 안 숫자가 아이템의 개수), 단가(개당 가격) 1000s로 적철광 2개를 2000s에 등록했어. 여기서 귀여운 뉴비들의 단골 질문, "구매할 때 나눠서 구매할 수 있나요?", 답변은 나눠서 구매하는 게 불가능하다. 판매자가 등록한 것을 일괄 구매하게 되어있는 시스템이라 판매할 때 아이템의 개수와 가격을 잘 설정해야만 해. 올릴 마켓을 정하고, 아이템을 정하고, 가격도 설정했다면 이제 등록을 해보자.

위 화면까지 나왔다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거야. 여기서 빨간색 동그라미를 보면 등록되어있는 마켓이 어느 마켓인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

이번엔 스타 젬 등록을 해보도록 하자. 스타 젬을 등록하는 방법은 물건을 등록할 때 빨간 원 안의 별 모양 그림이 그려진 「가방 변경」 버튼을 눌러주면 인벤토리에서 스타 젬 가방으로 넘어가게 돼. 참고로 스타 젬은 개인 거래로도, 메일로도 거래할 수 없기 때문에 마켓으로 거래할 수밖에 없어. 여기서 약간의 꼼수가 작용하기도 하는데, 개인 거래로 스타 젬을 거래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은 길드에서 길드 마켓을 이용해, 개인끼리 혹은 부계와 스타 젬을 교환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해.

위 화면에서 원하는 스타젬을 누르고, 좌측 하단의 [이 스킬을 확인] 버튼을 눌러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후의 방식은 같아.

아이템이 판매될 경우 위 어린 나무 열매와 같이 「스피나 회수」 버튼이 나타나게 되고 아이템 등록을 취소하거나, 아이템이 오랜 기간 팔리지 않았을 경우 아래 '포획기술 I'과 같이「아이템 회수」 버튼이 나타나게 돼.

 

B) 아이템 검색창의 기초사항

아이템 구매의 경우, 특히 필터 등에 상당히 용이한 설정이 많이 있는데, 그에 대한 설명이 없기에 뉴비들은 지식이 부족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필터는 C에서 설명할 테니 지금은 필터 외의 표시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우측을 보면 아이템 판매 때와 같이 국제, 길드 마켓 설정이 가능해. 동일하게 설정 없이 검색할 경우엔 국내 마켓, 국제 출품 설정 시 국제마켓, 길드만을 설정 시 길드 마켓에서 검색할 수 있어. 특히 길드마켓에 대해선 길드원의 도움을 받아 예시를 들고 왔는데 한번 확인해보자

국제마켓에 검색을 하면 이런 식으로 여러 가지 결과물이 나오게 되는데, 아래에도 더 나오다 보니 알아보기 힘들겠지만 일단 길드원이 길드 마켓에 올린 아이템은 저 목록에 나오지 않아.

이렇게 길드만 버튼을 누른 상태로 검색을 해야만 길드 마켓에 등록된 아이템이 나타나. 같은 길드원이더라도 길드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볼 수 없으니 비밀거래를 할 때는 좋겠지만 역시 너무 불편한 감이 있어.

장비를 검색했을 때 좌측의 아이콘 부분을 잘 보면 초록색이 깜빡이는 녀석이 있고, 아닌 녀석이 있어. 저건 바로 외형의 적용 여부에 대한 차이를 나타내 주는 거야. 밀레스 플레이트가 2개 보이는데 깜빡이지 않는 밀레스 플레이트 중 솟이 하나 뚫려있는 밀레스 플레이트를 클릭해보자.

깜빡임이 없는 위 1솟의 장비는 외형도 밀레스 플레이트 그대로야.
이번엔 맨 위의 깜빡거리는 S강 밀레스 플레이트를 눌러보면, 외형이 밀레스 플레이트가 아닌 다른 옷으로 합성되어있어.

이와 같이, 아이콘의 깜빡거림으로 외형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빨간색 테두리를 보면 웬 색들이 적용된 세로선들이 보이지? 반면에 파란 원 안에는 아무 색도 없어. 저건 파츠 별 염색 정보를 표시해주는 거야. 좌측부터 a, b, c 파츠 순서이고, 색은 말 그대로 어느 색이 적용되었는지 표시하고 있어. 아무 선도 없다면 염색이 되지 않은 옷이란 거지.

이번에 설명할 건 소비/재료 아이템의 가격표시에 대해서야. 장비라면 그 장비 하나의 가격을 표시하는 거라고 단번에 알 수 있겠지만 재료나 포션과 같이 겹쳐지는 경우엔 오른쪽의 가격이 단가인지, 전체 가격인지 판단이 안 설 수 있다 생각해. 본론을 이야기하자면 우측에 표기된 건 전체 가격. 일괄구매의 가격이야. 그리고 한번 설명했지만 이 게임은 마켓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물건의 개수를 정해서 구매하는 게 불가능하고 오직 일괄구매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당 가격으로 표기할 이유가 없기도 해.

다만, 시스템에서 단가가 이용되는 경우가 한 가지 있어. 이건 내가 게임을 접기 전 자주 이용한 '테라 스피드 포션'이라는 포션이야. 아래 필터에서 설명하겠지만, 현재 가격이 싼 순서로 정렬을 해둔 상태야. 그런데 가격이 싼 순서 치고는 93,600s와 96,900s 사이에 19,190s가 끼어있는 게 이상하지? 그럼 개수를 확인해보자. 93,600s나, 96,900s에 올라온 테라 스피드 포션은 10개 씩을, 19,190에 올라온 테라 스피드 포션은 2개를 판매하고 있어.

93600/10=9360
19190/2=9595
96900/10=9690

바로 여기 싼 가격 순서의 필터에선 가격을 전체 가격이 아닌 단가를 기준으로 정렬해주게 돼. 어찌 보면 이 부분은 당연히 그래야 하는 거겠지. 1개 50000s 하는 게 10개 60000s 하는 것보다 앞에 나와있으면 의미가 없으니까.

 

C) 검색 필터 사용법

이번엔 필터에 대해 알아보자. 위부터 천천히 설명해 내려갈 건데, 그냥 설명하기도 뭐하니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이용해보자. 우리는 이제부터 한손검 중 싸고, 2곳 상태이며 A파츠에 염색 5번(검정)이 적용된 프로토 클레일 외형의 장비를 찾을 거야.

먼저, 가장 위의 카테고리의 경우 위와 같이 분류되어있어. 카테고리의 경우 말 그대로 검색했을 때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의 아이템 목록을 보여주게 돼. 카테고리의 변경은 굳이 화살표를 누를 필요 없이, 아이콘을 누르는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니 일일이 화살표 누르지 말자. 우리가 찾는 건 한손검이니, 한손검으로 변경한 상태로 국제마켓에 검색해보자.

이렇게 한손검이 최신 순으로 나열돼서 나오지만, 양이 너무나도 방대하고 가격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구별해내는 건 쉽지 않을 것 같아.

 

가격은 싼 걸 원하니 표시 순을 [등록 순]에서 [가격이 싼 순]으로 바꿔보자. 말 그대로 [등록 순]은 최근에 등록된 순서. 최신순으로 나열해주고, [가격이 싼 순]은 가격 순으로 정렬해주게 돼. 아쉽지만 반대로 오래된 순서나, 가격이 비싼 순서로 정렬시키는 기능은 없어. 그리고, 검색 결과로 표출되는 양에는 제한이 있어서, 등록된 아이템을 전부 보여주지는 못해. 그러니 표시 순은 양쪽 다 이용해 보는 걸 추천할게.

음... 확실히 가격이 싼 순서로 정렬은 됐지만 불필요한 장비들만 너무 많이 보여.

바로 아래의 이름 검색은 잠시 미뤄두고 아래로 좀 더 슬라이드해 내려가, 슬롯 수를 설정해보자. 기본에는 슬롯수 지정 없음으로 0~2솟 전체가 검색될 거야. 하지만 저기서 버튼을 눌러주면 0솟, 1솟, 2솟, 지정없음 순서로 해당 솟에 해당되는 아이템만 검색해주게 돼. 우리는 2 솟을 원하니 3번 눌러서 2 솟으로 설정한 후 검색해보자.

아까보단 훨씬 나은 듯하지만 그래도 아직 양이 방대한 것 같아.

이번엔 그 아래의 염색 부위를 설정해보도록 하자. 이것도 기존에는 지정 없음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터치를 해주면 A, B, C, 지정없음 순서로 설정되게 돼. 지정없음으로 설정되어있을 때는 A, B, C 전체를 검색하게 된다는 것도 참고해줘. 우리는 A파츠 염색을 원했으니 A로 설정하고 검색할 거야.

어라? 상품을 찾을 수 없대. 이럴 때는 당황하지 말고 가격이 싼 순서를 등록 순으로 변경하고 다시 검색해보자.

가격은 뒤죽박죽이 되었지만 검색에는 성공했어. 이게 가격이 싼 순서대로 검색했을 때의 문제점인데, 양이 너무 방대한 나머지, 컴퓨터가 전부 구분하는 게 힘든 건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가격이 싼 순서대로 검색하면 가끔 이런 식으로 검색이 안되거나, 혹은 극히 일부만 검색되는 일이 일어나기도 해. 그러니 가격 싼 순서로 검색했을 때 해당하는 게 없거나, 너무 적다 싶으면 등록 순으로 다시 한번 검색해봐.

이번엔 색 정보로 좀 더 자세한 설정을 해보자. 색 정보 또한 선택을 안 하면 지정 없음으로 설정되는데, 염색 부위를 지정한 상태로 색 정보를 지정없음으로 설정하고 검색할 경우 염색의 색상과 관련 없이 해당 염색 부위에 염색이 뭐라도 되어있으면 검색 결과물로서 보여주게 돼. 바로 위 사진에서 a의 색이 뒤죽박죽인 이유가 그거야. 만약 염색 부위와, 색 정보 둘 다 설정을 안 할 경우 염색에 관계없이 모든 정보를 표출해주고, 염색 부위를 지정 없음 상태로 색 정보만 설정하면 염색 위치와 관계없이 해당 염색이 붙어있는 장비를 모두 보여주게 돼. 그리고 약간의 팁으로 색을 넘길 때 한 번씩 터치해도 되지만 꾹 누르고 있어도 돼. 우리는 5(검정)를 원했으니 5번으로 설정해주자.

2솟이며 a 5가 적용된 한손검. 상당히 많은 필터링을 걸쳐서 우리가 원하는 장비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지? 이제 이 중에서 외형이 프로토 클레일인 걸 찾으면 되는데, 일일이 하나하나 외형을 체크해보는 것도 귀찮아. 그래서 우리는 또 한 번의 필터링을 할 거야. 바로 이름 검색이지.

조금 전 무시하고 내려왔던 이름 검색으로 올라가 프로토 클레일을 검색해보자. 프로토를 검색했더니 프로토 클레일이 나왔어.

하지만 결과물을 찾을 수 없다고 하네? 어째서일까? 해당 장비가 없는 걸까?

아니야 가장 아래쪽을 보면 「검색 방법」이 「아이템 이름 우선」으로 설정되어있어서 그래. [아이템 이름 우선]은 말 그대로 아이템의 이름이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있느냐야. 자세한 건 장비 합성에 관한 공략에서 배울 수 있겠지만 장비 합성을 거친 장비의 이름은, 옵션이 적용된 장비의 이름을 따라가게 돼. 우리가 원하는 건 「프로토 클레일의 외형」이지 옵션이 아니야. 애초에 프로토 클레일은 드랍제라 거래가 불가능해.

그래서 검색 방법을 한번 터치해주면 「외견 우선」으로 바뀌게 돼. 외형으로 어느 것이 적용됐냐를 검색해주는 거지. 프로토 클레일의 「외형」을 원했던 우리에겐 안성맞춤의 필터야.

이제 다시 이 상태로 검색

드디어 2솟이고 a에 5가 염색되어있으며, 프로토클레일의 외형을 가진 가장 싼 한손검을 간추릴 수 있게 되었어.

 

참고로, 위의 방식은 순서는 상관없어. 즉, 솟 선택 안 했다고 외형 검색 못 하는 거 아니고 염색 부위 안 정했다고 염색 번호 검색 못 하는 거 아니니까 얼마든지 원하는 대로 필터링을 진행해서 이용하면 돼. 또한 이름 검색은 스타 젬과, 펫을 제외하면 카테고리 설정의 영향을 받지 않아. 즉, 카테고리 설정을 소비 아이템으로 한 채 한손검 아이템의 검색이 가능하단 거지. 단, 카테고리가 소비 아이템인 상태로 스타 젬을 검색한다던가, 펫인 상태로 활을 검색한다던가 혹은 각각의 반대 상황 등을 검색하는 건 불가능하니 주의해줘.

그리고 현재(2019/05/10)까지 게시판은 소피아 거리, 엘 스카로, 호러 디오미다 이렇게 3가지 마을에 위치하고 있어.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